국어 필수 암기 - 고전문학 : 한문학 2. 한문 문장의 실제와 해석
KG 아이티뱅크(IT Bank) 평생교육원에서 정보보호학 단기간 학사 과정을 학습하는 학습자입니다.
독학학위제 전공별 평가영역 시험 범위와 예시문항 : 다운로드 페이지
한문학 작품 정리 -2. 한문 문장의 실제와 해석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로 구분해 한문 문장을 살펴보자.
고려 시대
<온달전>(溫達傳) - 작자미상
갈래 : 영웅 전설, 전
성격 : 역사적, 영웅적
제제 : 온달과 평강 공주의 사랑, 온달의 영웅적 일대기
주제 : 온달의 입신 출세와 평강 공주의 주체적인 삶의 태도
연대 : 고대-삼국 / 출전 : "삼국사기"
특징 :
- 역사상 실존 인물을 다룸
- 인물에 대한 전 형식의 설화임
- 기전체 역사서
<상원백주승상서>(溫達傳) - 이제현, => 원나라 백주승상에게 올리는 글
갈래 : 한문학
성격 : 편지
주제 : 이제현이 백주승상에게 충선왕의 방환을 요청하는 우국충정의 편지글
연대 : 고려 후기 / 출전 : "익재난고" 권6, "여한십가문초" 권2
특징 :
- 3단 구성, 끊는 듯한 간결미의 문체
- 1단에서는 성인과 같은 덕을 갖춘 사람, 윗자리의 사람은 아랫삼의 어려움을 해결해야 하는 도덕적 당위성 강조
- 2단에서는 충선이 어려움을 당할 때마다 해결해준 백주승상에 대한 고마움 표시
- 3단에서는 지금까지 돌보아준 것처럼 끝까지 은혜를 베풀어 황제에게 잘 말해달라고 하며, 고국에 돌아가 여생을 마치게 해달라고 하는 간절한 소청을 말함
<진종사기>(眞宗寺記) - 이색
갈래 : 산문
주제 : 세상 사람들이 불교에만 집착해 유교를 돌아보지 않음을 비판
연대 : 고려
특징 :
- 공민왕 때 영밀공의 영정이 진종사에 봉인되자 목은 이색이 지은 글
조선 시대
<제김이호문>(祭金而好文) - 장유
갈래 : 제문
주제 : 김이호를 제사하는 제문
특징 :
- 김이호를 보내는 작자의 안타까운 심정을 훌륭하게 표현
번역문 참고 : m.blog.naver.com/leejrea/90112474864
<사호조참의소>(辭戶曹參議疏) - 김만중
갈래 : 산문
주제 : 호조참의를 사양하는 상소문
특징 :
- 김만중이 존중하는 송시열, 송준길, 이유태를 언급함
- 송시열이 탄핵을 받는 상황에서 출사할 수 없음을 밝힘
전문 :
伏以臣天地間一罪人也自先臣被禍以來鑽燧旣已六易矣而頑然冥迷訖不能滅死泯泯而處踽踽而行忽焉若不知至痛之在己而苟活之爲可恥蓋將生爲不孝之人死爲不孝之鬼而已矣誠不自意天日重明朝著廓淸而愍恤之典首及於先臣凡所以開示聖意仲雪冤鬱以昭洗於泉壤者無復有餘憾雖天地之大河海之廣未足以喩比盛德臣於是俯仰感激且喜且悲五情摧咽不覺淸血之交迸也顧臣不孝之罪上通於天固已久矣而在今日益知其無以自贖焉昔緹縈一女子耳猶能以咫尺之書感悟主意脫父於刑禍田橫之客非有骨肉之恩而徒以義氣相感不惜一死以相殉於地下若臣當先臣禍變之日進旣不能碎首北闕以丐其生退又不能引伏歐刀與之同死是則身爲男子而曾不及一弱女親爲父子而反不若從游之客也且昔齊女號天震風擊殿燕臣痛哭嚴霜墜夏夫精誠之所感足以上干蒼天發見精祲而今臣竄伏窮山隱忍偸生曾不能奮發至誠感動陰陽以幸宸聰之一悟淹連歲月以至于今日向非殿下至仁至明則臣雖老死塡邱壑終無以白先臣覆盆之冤而洗其丹書之籍矣終古以來爲人子而不孝者豈復有如臣之甚者哉臣竊意鼎革之初百度維新人倫風化之際尤所當加意如臣不孝者必將先正其罪以勵一世而乃反與無故廢置者同被甄敍遂至有地部新命此豈區區意慮之所及哉抑臣尤有所隱痛於中者先臣立朝四十年事君行己之方憂國奉公之節具有本末不待陳述而惟其小心謹愼不以權位自居謙恭畏約終始如一其於鬼神之忌人道之禍宜無自以致之特以臣之兄弟無一行能夤緣幸會相繼登朝歷揚淸顯驟躋下大夫之列榮寵赫然爲世所指目而臣等罔念負乘之戒止足之訓冥行冒進乘至盛而不返終使滿盈之菑獨及於先臣而臣則倖免其爲不孝又莫大於此矣臣每念及此未嘗不慚痛冤酷汗淚俱下竊自誓長爲農夫以沒其世而不復列於士大夫之林久矣今若幸一時之會忘宿昔之志輒復彯纓結綬以馳騁於當世則是將重得罪於仁孝君子而無以見先臣於地下矣臣雖甚頑豈忍爲此哉仰惟殿下德盛覆載化洽生成雖鳥獸魚鼈之微皆欲各遂其性如臣至情誠宜在所憐愍倘蒙俯垂仁恩亟命遞臣職名仍令刊去其姓名於朝籍不復有所檢擧則臣謹當優遊畎畝涵泳聖澤日與樵夫牧叟抃手謳吟以頌祝太平萬歲而九地之下亦將結草以圖報矣惟聖明哀而察之不勝幸甚
<야출고북구기>(夜出古北口記) - 연암 박지원, = 옛 전쟁터의 분위기가 지금도 감도는 고북구를 밤에 나오며
갈래 : 견문기(보고 들은 지식을 기록하여 놓은 글)
주제 : 한밤중에 만리장성을 넘는 감회를 서술한 글
특징 :
- 간결하고 응축적인 연암 특유의 문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