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와 윤리] 동양 윤리 불교 사상
KG 아이티뱅크(IT Bank) 평생교육원에서 정보보호학 단기간 학사 과정을 학습하는 학습자입니다.
독학학위제 전공별 평가영역 시험 범위와 예시문항 : 다운로드 페이지
불교의 사상의 연원과 전개
: 고대 인도 사상, 베다적 전통을 부정하는 대푲거 비정통 사상 -> 계급적 인간관 부정(평등성)
주된 가르침 : 사성제, 연기, 팔정도, 열반
인도 불교의 발전
- 소승불교 : 지나치게 이론적 경향을 띠며 교단이 비구 중심이 되었음
- 대승불교 : 기원을 전후해 기존 교단의 자기 구제 방식을 지양하고 타인 구제까지 고려할 것을 주장하는 보살 강조
불교 사상의 특징
연기설 : 모든 사물은 생겨날 원인에 의하여 존재하고 원인이 소멸되면 소멸한다는 것
- 우주 만물이나 타인들과의 불가피한 인과관계로 맺어져 있다는 상호 의존성
사성제설 : 인간이 달성해야 할 목표와 올바른 삶의 방법을 총제적으로 제시하는 고집멸도의 네 가지 진리
-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
삼법인설 : 세상의 모든 현상과 존재의 참다운 모습에 대한 불타의 깨달음에 대해 설명한 것
- 제행무상, 제법무야, 일체개고
공 : 모든 사물에 변하지 않는 실체는 없으며 너와 내가 본질적으로 다른 존재가 아니며 서로 사랑하고 봉사해야 함
한국 불교 윤리 사상의 특징과 의의
수용 : 고대 국가 형성시기(4~5세기) - 국가 불교적 성격으로 호국불교라는 특징을 갖게 됨
불교와 무속의 결합 : 토속적 + 주체적, 통합적 측면
통일신라 시대
- 의상 : 화엄종의 시조, 영주의 부석사 등 전국 10군데의 화엄종 사찰을 세움 "화엄일승법계도"
- 원효 : 국제 불교로서의 자주성을 보임, 밀중생활 속 실천불교로 전환, 대승기신론소, 일심사상, 화쟁사상, 원융회통사상
고려 시대
- 의천 : 교종과 선종의 조화 추구, 내외겸전
- 지눌 : 돈오점수, 정혜쌍수 등 교선 일치 강조
조선 시대
- 송유억불책으로 지배체제의 억압 속 민중적이고 토착적인 모습을 띠고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