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현대사회와 윤리
[현대사회와 윤리] 동양 윤리 도가 · 도교 사상
넬티아
2021. 2. 19. 19:58
728x90
KG 아이티뱅크(IT Bank) 평생교육원에서 정보보호학 단기간 학사 과정을 학습하는 학습자입니다.
독학학위제 전공별 평가영역 시험 범위와 예시문항 : 다운로드 페이지
도가 · 도교 사상의 연원
노자의 윤리 사상 : 도 사상(무위자연), 소국과민
장자의 윤리 사상 : 소요유, 제물, 물아일체의 경지
도교 사상의 전개
유교의 영향을 받아 충효를 강조 -> 유가에서 강조하는 인과 예를 인위적인 도덕규범으로 규정하고 배격
전개 :
- 황로학파(한나라 초) -> 태평도, 오두미교 -> 현학(위진시대) -> 민중 도교(송대 이후)
한국의 도교
문학 기록 : 을지문덕의 시, 최치원의 "난랑비서", 조선의 소격서
신라의 화랑도(국선도, 풍월도, 화주, 풍류도)
: 한국 고유의 사상과 도교, 불교, 유교가 합해진 이념에 따른 일종의 심신 수련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