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사회학개론

[사회학개론] 사회 제도

넬티아 2021. 2. 25. 00:30
728x90

KG 아이티뱅크(IT Bank) 평생교육원에서 정보보호학 단기간 학사 과정을 학습하는 학습자입니다.


독학학위제 전공별 평가영역 시험 범위와 예시문항 : 다운로드 페이지

사회 제도 개념


사회 제도
- 카노이 : 제도는 사회적으로 시인되고 보상이 뒤따르는 행동이 유형을 지배하는 특수한 사회적 규범 표준으로 규정
- 허츨러 : 제도가 내포하는 개념 수집 및 정리

사회 제도 분류
- 섬너 : 제도의 성립 과정을 기준으로 분류
- 베커와 비제 : 작용적 제도와 규제적 제도
- 파슨스 : AGL 기능 => 사회체계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적 측면에서 분류

사회 제도의 기능
- 순기능 : 사회의 유지와 존속에 기여
- 역기능 : 사회의 유지와 존손에 방해
- 허츨러 : 개인의 욕구 충족 및 사회질서 유지, 사회화와 통제, 문화를 다음 세대로 전승, 기존 가치 체계 수호
- 볼드리지 : 기초적인 제도와의 비교

사회 제도 유형


경제 제도
- 사회의 모든 재화와 용역의 생산과 분배, 소비에 관여하는 제도
- 통제하고 있는 제도적 기제 : 시장 기제, 문화적 규범, 공통의 문화적 목적, 행정부와 조직체의 통제

정치 제도
- 일정 영역 내에서 권력 획득과 행사를 규제하는 규범을 제도화한 체제
- 베버의 분류 : 카리스마적, 전통적, 합법적 지배

교육 제도
사회화를 담당하는 필수적 기관, 교육의 기화에 관한 이론(볼드리지)

종교 제도
인간의 퍼스낼리티 특성과 사회 유대의 필요성 중심으로 종교 성립의 기초 제시(브롬과 셀즈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