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문자를 위한 파이썬 기초 #5. IDLE 편집기 사용하기
IDLE
파이썬을 설치하면 파이썬의 기본 편집기인 IDLE가 설치된다. 보고서를 쓸 때 마이크로소프트 워드같은 프로그램을 실행 한 후 글을 쓰듯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파이썬 IDLE를 사용한다. 물론 다른 편집기를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여기서는 파이썬이 기본 제공하는 IDLE를 다뤄본다.
IDL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단어는 “통합 개발 환경”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다른 개발자 도구는 기능이 많아서 좋지만 기본 환경에서 사용하는 IDLE를 익혀두면 어떤 파이썬 환경에서도 파이썬을 원하는대로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IDLE 편집기로 파이썬을 사용해보자. [윈도우 키]를 누르고 IDLE를 입력하면 IDLE 아이콘이 나타난다.
IDLE를 실행하면 다음 창이 뜬다.
IDLE, 셸 모드와 편집 모드
파이썬은 셸(Shell) 모드와 에디터(Editor) 모드가 있다.
셸 모드
장점 : 사용자와 상호동작할 수 있어 한 줄 단위로 코드를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결과를 확인한다.
단점 : 코드를 저장하지 않아 별도 메모를 하지 않으면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실행 : 기본 IDLE를 실행하면 나오는 >>> 에 명령을 입력해 사용한다.
에디터 모드
장점 : 직접 텍스트로 파이썬 파일(*.py)을 저장하고 전체 내용을 한 번에 실행해 재사용이 가능하다.
단점 : 중간에 입력한 명령이 에러가 발생하면 명령 결과를 출력하지 않는다.
실행 : IDLE를 실행해 File-New File을 누르거나 [Ctrl] + n키를 눌러 실행한다.
IDLE, 셸 모드 사용하기
셸 모드는 일반적인 셸처럼 실시간으로 작업을 처리한다. 예시를 몇 가지 살펴보자.
- print 함수로 문자열을 출력한다.
>>> print("Hello World!")
Hello World!
- os 라이브러리는 시스템 함수를 실행한다. os 모듈을 통해 계산기를 실행해보자.
- 다음 코드는 문제가 있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
>>> import os
>>> os.system(calc)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pyshell#1>", line 1, in <module>
os.system(calc)
NameError: name 'calc' is not defined
- 다음 코드로 다시 입력하면 calc.exe의 계산기를 실행한다.
IDLE, 편집 모드 사용하기
에디터 모드는 여러 명령을 모아 실행한다. 다음 코드를 입력하고 바탕화면에 저장해 실행해보자.
- 새 파일 생성 : [Ctrl] + n
print ("Hello, Python")
import os
os.system("calc")
- 내용 저장 : [Ctrl] + s
- 파일 실행 : F5, 저장하지 않은 파일을 실행하면 저장 후 실행한다.
- 편집기의 입력하는 글씨 폰트와 크키 등 작성 설정은 Options - Configure IDLE에서 설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