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입문자를 위한 파이썬 기초 #7. 산술연산과 변수
넬티아
2021. 1. 11. 00:30
728x90
산술연산
파이썬을 사용해 여러 유형의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 연산자가 필요하다. 이번에는 산술연산만을 다룬다. 산술연산은 간단한 수와 양의 성질을 활용해 계산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산술연산자를 가지고 산술연산 결과를 구해보자. 산술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몫)
// #나누기 (몫, 결과를 무조건 정수로)
% #나누기 (나머지)
** #제곱
산술연산자를 사용해 산술연산을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 print(5 + 2)
7
>>> print(5 - 2)
3
>>> print(5 * 2)
10
>>> print(5 / 2)
2.5
>>> print(5 // 2)
2
>>> print(5 % 2)
1
>>> print(5 ** 2)
25
한 줄 한 줄의 확인을 위해 셸 모드를 사용했다. 셸 모드에서 사용했던 명령에 커서를 두고 엔터키를 누르면 전에 사용한 명령을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변수
변수는 값이 변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한 변수 당 한 데이터 값을 가지며 다른 데이터로 바꿀 수 있다.
다음은 변수 선언 규칙이다. 변수를 선언할 때는 다음 규칙에 따라 선언한다.
* 변수 이름 선언 규칙
대소영문자, 숫자, 밑줄문자(_)를 조합하여 구성
첫자는 반드시 영문자, 밑줄 문자로 시작
구분 공백 및 특수문자 포함 불가능
변수가 가진 데이터의 유형은 type() 함수를 사용해 확인한다. 숫자형 데이터는 int와 float 등이 있다. int 는 정수, float는 실수(부동소수) 형태로 값을 기억한다. 변수는 보통 오른쪽에 있는 값을 계산해 =의 할당 연산자를 사용해서 변수에 넘기는 구조를 가진다.
>>> a = 3
>>> type(3)
<class 'int'>
>>> b = 3.14
>>> type(b)
<class 'float'>
변수끼리의 사칙연산도 가능하다.
>>> a + a
6
>>> a + b
6.140000000000001
>>> a / b
0.9554140127388535
a = a + 1 은 a의 값에 1을 더해 a 변수에 계산한다. a += 1로 줄여쓸 수 있으며 다른 산술연산자도 적용된다. 다음 예제를 보면 a는 처음에 3으로 선언했지만 a에 값을 더해 마지막 출력된 값은 5가 된다.
>>> a = a + 1
>>> a
4
>>> a += 1
>>> a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