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사회와 윤리] 동양 윤리 고유 사상학습/현대사회와 윤리 2021. 2. 18. 21:49728x90
KG 아이티뱅크(IT Bank) 평생교육원에서 정보보호학 단기간 학사 과정을 학습하는 학습자입니다.
독학학위제 전공별 평가영역 시험 범위와 예시문항 : 다운로드 페이지
동양 및 한국 윤리 사상의 흐름
동양 윤리 사상의 특징
- 1. 유기체적 세계관
- 2. 이상 사회 : 유교의 대동사회, 불교의 불국정토, 도교의 소국과민
- 3. 이상적 인간상 : 유교의 군자, 불교의 보살, 도교의 지인, 신인, 천인한국 윤리 사상의 특징
- 특징 : 고유한 전통과 외래 전통 사상이 혼합되어 다양한 유형의 모습으로 구체화
- 중심 사상 : 신화와 무속, 유교, 불교, 도교
- 근대 이후 갈등 : 기독교의 유입, 외세의 조선 침략 및 민족 전통의 말살 정책, 산업화, 근대화고유 사상
단군 신화
특징 : 건국/시조 신화 기원이 없으며 현세적 신화, 상보적 관계로 농민 사회적 사고 반영
영향 : 주체적 역사의식의 표상, 남북 통일의 이념적 기반, 외세 저항 민족의식의 기원
의의 : 기층적 민족의식의 원형, 윤리 의식의 바탕
- 윤리적 : 인본주의, 천일합일, 조화정신, 광명이세, 민본정치
홍익인간 : 사람이 사는 세상인 사회를 크게 이롭게 한다.무속신앙(샤머니즘)
본래 의미 : 집단의 공동선을 이루기 위한 어우러짐
가치관 : 현세적, 공동체적, 무속의 미분화(아직 갈래가 나뉘지 않음) 현상
한국 무속 흐름 :
- 신화는 무속적 요소를 가진 가장 오래된 것
- 무속 + 불교 : 고려의 팔관회나 연동회
- 무속 + 유교 : 조선의 나례풍류도와 화랑
풍류 : 최치원의 "난랑비서"에 처음 등장, 풍류도가 화랑도로 제도화 됨
화랑도 : 원광법사의 세속오계
-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 임전무퇴, 살생유택'학습 > 현대사회와 윤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사회와 윤리] 동양 윤리 도가 · 도교 사상 (0) 2021.02.19 [현대사회와 윤리] 동양 윤리 불교 사상 (0) 2021.02.19 [현대사회와 윤리] 동양 윤리 유교 사상 (0) 2021.02.19 [현대사회와 윤리] 윤리학의 기본원리와 실천 윤리 (0) 2021.02.18 [현대사회와 윤리] 인간의 삶과 윤리 (0) 2021.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