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2 한국사 : 고조선학습/한국사 2019. 4. 29. 02:00728x90
1. 고조선의 성장
▲ 건국 : 삼국유사(일연)에 따르면 고조선은 2333년 단군왕검에 의하여 건국.
→ 단군왕검은 지배자의 칭호로서 단군은 제사장, 왕검은 정치적 지배자를 의미.▲ 단군신화 : 건국 과정, 지배계급의 출현, 농경 사회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함.
→ 이 점은 고조선이 청동기문화와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성립한 사실을 보여줌.→ 단군 집단은 천손 사상을 앞세워 주변의 군장 사회를 정복하거나 동맹을 맺으며 세력을 확장.
→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라는 홍익인간 이념을 내세우며 새로운 사회질서를 형성.
→ 제정일치 사회(왕과 제사장이 일치).
▲ 영역 : 랴오닝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 → 점차 주변 지역을 통합하며 한반도 북부 지역까지 세력 확장.
-------------------------> 이는 비파형 동검, 고인돌의 분포를 통하여 짐작 가능.▲ 성장
→ 고조선은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철기 문화를 받아드려 더욱 성장.→ 중국의 7웅 중 연을 대적할 정도로 성장.
→ 기원전 3세기, 부왕과 준왕 등 강력한 왕의 등장하며 왕위세습(맏아들에게 왕권을 물려줌).
→ 상, 대등, 장군과 같은 관직이 생김.
2. 위만의 집권
▲ 배경
→ 진ㆍ한의 교체시기에 중국의 혼란이 많아 많은 유이민들이 고조선으로 들어옴.
그 중 '위만'이 약 1,000여명을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옴.(2세기) 준왕은 그들을 서쪽 변방의 수비 임무를 줌.
그러나 기원전 194년에 위만은 수도 왕검성을 공격하여 준왕을 물리치고 스스로 왕이 됨.→ 위만은 왕위 즉위 후 나라의 이름을 '조선'으로 계속 사용하였으며, 그의 정권에는 토착민 출신의 높은 지위가 많았음.
이러한 점을 보아 '위만 조선'은 '단군 조선'을 계승한 것으로 볼 수 있음.▲ 발전
→ 위만 조선은 발달한 철기 문화를 적극 수용하여 중앙 정치 조직을 갖춘 강력한 국가로 성장.→ 중국의 '한'과 남방의 '진' 사이에서 중계무역을 하여 수익을 창출. (배경에서의 진과 발전에서의 진은 다른 나라이다)
→ 활발한 정복 활동으로 영토를 넓힘.
▲ 멸망
→ '한' 무제의 침략으로 '위만 조선'은 1년을 버티다 지배층 내분으로 기원전 108년에 멸망.→ 멸망 이후 '한'은 고조선의 몇 지역에 군현을 설치하여 지배함.
→ '한' 군현의 업박과 수탈에 맞선 토착민들이 저항. (8조→60조)
3. 고조선 사회 모습
▲ 고조선은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8조법이 있음.
▲ 중국 '한서'에는 생명, 신체, 재산에 관한 3조항과 더불어 여자들이 정숙하여 음란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기록.
→ 이는 고조선 사회가 생명, 노동력, 사유 재산을 중요시 여기며, 형별과 노예가 존재한 계급 사회였음을 보여줌.
→ 가부장적 가족 제도가 성립했음을 짐작.'학습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한국사 : 고구려 (0) 2019.04.29 고2 한국사 : 부여 (0) 2019.04.29 고2 한국사 : 청동기, 철기 시대의 예술 (0) 2019.04.28 고2 한국사 : 철기 (0) 2019.04.28 고2 한국사 : 청동기 (0) 2019.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