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2 한국사 : 의정부와 6조 중심의 통치 체제 (조선)학습/한국사 2019. 6. 30. 00:51728x90
■ 의정부와 6조 중심의 통치 체제
- 조선은 유교 정치 이념에 따라 권력의 독점을 막으면서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이루는 통치체제를 추구
- 그 결과 의정부와 6조 중심의 통치체제 마련.□ 의정부 : 재상들의 합의로 운영되는 최고 정무 기구.
□ 6조 : 국가의 주요 행정을 담당.
아래에 여러 관청을 두고 업무를 분담하여 행정의 전문성과 효율을 높임.
----------> 의정부와 6조의 고위관리들은 주요정책회의나 경연에 참가하여 정책을 협의함.
이를 통해 각 관청의 업무를 조정하고, 통합적인 정책 추진.□ 3사 : 언론 담당 기구로서 기능이 강화.
- 사헌부 : 관리 비리 감찰
- 사간원 : 국가 정치 비판, 간쟁ㆍ봉박ㆍ서경권*
- 홍문관 : 경연 주관, 사헌부ㆍ사간원 지원
-----------> 3사의 언론 활동은 국왕이나 고위관리도 제지 불가.
권력의 독점을 막기위한 조선시대 정치의 특징.□ 그 외
- 승정원 : 국왕의 비서 기관
- 의금부 : 국가의 큰 죄인을 다스림. (국왕 직속 사법 기구)
-----------> 왕권을 강화하고 유지하는데 중요.
이로써 조선은 신권과 왕권의 조화를 이룸.- 춘추관 : 역사서의 편찬과 보관.
- 성균관 : 최고 교육 기관
- 한성부 : 수도 행정 담당.'학습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한국사 : 조선 군사 제도, 조선 관리 선발 (0) 2019.06.30 고2 한국사 : 조선의 중앙 집권 체제 (면리제) (0) 2019.06.30 고2 한국사 : 유교 정치의 구현 노력 (세종, 단종, 세조, 성종) (0) 2019.06.30 고2 한국사 : 국호재정과 한양 천도, 태조 (0) 2019.06.29 고2 한국사 : 과전법의 시행과 조선건국 (0) 2019.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