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2 한국사 : 조선의 중앙 집권 체제 (면리제)학습/한국사 2019. 6. 30. 01:08728x90
■ 중앙 집권 체제의 강화
- 지방 행정 조직은 백성을 효율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중앙 집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비.- 전국을 부ㆍ목ㆍ군ㆍ현으로 나눔.
- 면리제를 실시하여 국가의 통치력이 일반 백성에게까지 직접 미침.
- 각 도에 파견된 관찰사는 도의 행정을 담당하고 관할 지역 수령 감찰.
- 고려와 달리 모든 군ㆍ현에 수령을 파견하였는데, 수령은 국왕 대신으로 사법, 행정, 군사권 행사 가능.
- 향리는 수령을 보좌하는 세습적인 아전으로 격하됨.
- 지방의 유력한 사족(사림)으로 구성된 유향소는 수령을 보좌하거나, 수령과 향리의 비리를 감시.
- 정부는 수도(서울)에 경재소를 설치하여 유향소와 정부 사이의 연락기능을 맡겨 유향소를 중앙에서 통제.
-------> 이를 통해 조선은 향촌 자치를 부분적으로 수락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학습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한국사 : 조선의 통신ㆍ교통 (0) 2019.06.30 고2 한국사 : 조선 군사 제도, 조선 관리 선발 (0) 2019.06.30 고2 한국사 : 의정부와 6조 중심의 통치 체제 (조선) (0) 2019.06.30 고2 한국사 : 유교 정치의 구현 노력 (세종, 단종, 세조, 성종) (0) 2019.06.30 고2 한국사 : 국호재정과 한양 천도, 태조 (0) 2019.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