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문자를 위한 파이썬 기초 #9. 입력과 출력파이썬 2021. 1. 13. 00:30728x90
입력
파이썬에서 입력을 받을 때는 input 함수를 사용한다. 변수에는 입력 받을 때의 안내 문구를 적자.>>> input("데이터를 입력해보자: ") 데이터를 입력해보자: 123 '123'
input 함수는 기본적으로 문자열 형태로 입력받는다. 숫자를 입력받을 때는 입력 후 int() 함수를 사용해 데이터 형을 바꿔주어야 한다.
>>> a = input("데이터를 입력해보자: ") 데이터를 입력해보자: 456 >>> b = int(input("데이터를 입력해보자: ")) 데이터를 입력해보자: 456 >>> a '456' >>> type(a) <class 'str'> >>> b 456 >>> type(b) <class 'int'>
데이터 여러 개를 동시에 입력받고 싶을 때는 split 함수를 사용한다. split 함수는 문자열을 분리할 때 사용하는 함수로 각 문자를 공백으로 구분해 입력한 뒤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하면 각 문자가 나뉜다.
>>> numbers = input("숫자 여러 개를 공백으로 구분해 입력: ") 숫자 여러 개를 공백으로 구분해 입력: 4 5 6 7 >>> numbers '4 5 6 7' >>> numbers.split(' ') ['4', '5', '6', '7']
다음과 같이 입력받고 바로 분리시킬 수 있고 분리된 요소를 각 변수에 할당할 수도 있다.
>>> num1, num2 = input("숫자1 숫자2: ").split(" ") 숫자1 숫자2: 3 4 >>> num1 '3' >>> num2 '4'
출력
print 함수는 입력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졌다. 앞서 간단히 살펴본 바 있다. print 함수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살펴보자. 콤마를 입력하면 여러 개를 동시에 출력하며 데이터 형이 달라도 상관없다.>>> print(num1) 3 >>> print(num1, type(num1)) 3 <class 'str'>
데이터 변수들과 함께 형식화된 문자열을 출력하고 싶은 경우는 형식 지정 문자(format string)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언어에서 사용하는 포맷 스트링은 데이터의 형태를 제시해서 어떤 데이터를 담는다고 미리 알려주어야 한다. 다음 예시는 앞서 문자열로 받은 두 값을 int()를 사용해 숫자로 바꾸어 %d에 담는다.
>>> print("숫자1은 %d고 숫자2는 %d야." %(int(num1),int(num2))) 숫자1은 3고 숫자2는 4야.
포맷 스트링은 데이터 유형에 따라 문자열 포맷 코드를 사용한다.
파이썬은 일반적인 형식 지정자 외에 데이터 형에 상관없이 원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도 존재한다. 다음 중괄호를 사용한 예제를 보자. 데이터 자리에 중괄호를 넣고 뒤에 .format으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 print("숫자 1은 {}고 숫자2는 {}야.".format(num1,num2)) 숫자 1은 3고 숫자2는 4야.
계산기 프로그램 만들기
입출력 내용과 이전 글을 참고해 계산기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작성할 계산기 프로그램은 두 수가 주어지면 값의 합계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출력 예시는 다음과 같다.코드 작성 :
a = int(input("a: ")) b = int(input("b: ")) print("a + b = %d" %(a+b))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문자를 위한 파이썬 기초 #11. Json 웹 데이터 처리하기 (0) 2021.01.15 입문자를 위한 파이썬 기초 #10. 다양한 데이터 자료형 (0) 2021.01.14 입문자를 위한 파이썬 기초 #8. 문자열 다루기 (0) 2021.01.12 입문자를 위한 파이썬 기초 #7. 산술연산과 변수 (0) 2021.01.11 입문자를 위한 파이썬 기초 #6. 들여쓰기와 주석 (0) 2021.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