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 필수 암기 - 국어학학습/국어 2021. 1. 26. 00:30728x90
KG 아이티뱅크(IT Bank) 평생교육원에서 정보보호학 단기간 학사 과정을 학습하는 학습자입니다.
독학학위제 전공별 평가영역 시험 범위와 예시문항 : 다운로드 페이지
1. 국어에 대한 이해
1. 언어 연구의 필요성
- 생활의 기본 수단, 원만한 사회생활
-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 여러 분야에 큰 공헌2. 언어학의 본질
- 언어학 : 언어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하는 학문 분야
- 문법 : 언어구조를 파헤쳐 뜯어보고 언어의 내적, 구조적 현상 기술3. 언어습득이론
- 경험주의 이론 : 경험적 훈련에 의한 후천적 학습으로 이뤄짐
- 합리주의 이론 : 타고난 언어학습 능력과 추상적인 선험적(경험에 앞서 인식을 규정하는 원리) 지식에 의해 이뤄짐
=> 언어습득의 균일성, 언어에 대한 통달성, 언어의 창조성2. 훈민정음 제작의 목적
훈민정음 서문 : 일반 백성들을 문자 생활에 참여시키고자 함
=> 애민사상, 자주사상훈민정음 창제 이후 서적 :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 월인석보, 두시언해, 금강경삼가해 등
훈민정음을 유일한 문자체계로 발전시킬 의도가 없었으며 국한문혼용을 염두에 둠
- 국한문혼용 : 한국어를 문자로 표기할 때 한글과 한자를 섞어 표기하는 방식 (=한자혼용)3. 한글의 유래
한글 명칭 : 한글의 한은 一, 大, 韓, 正의 의미
- 한글 명칭 최초 사용 : 1913년 3월 23일 조선어문회 창립총회
- 한글 명칭 실용화 : 1913년 9월 창간한 "아이들보이"지의 '한글풀이'
- 한글 명칭의 보편화 : 1927년 한글학회의 전신인 조선어학회에서 간행됨한글 명칭이 여러 번 바뀐 이유
- '국문', '국어' -> '한말', '배달말글' : 정치적 상황과 관련됨
- '배달말글' -> '한글' :
=> [배달->한]은 음절 수를 간결히 줄이고 '한'의 뜻이 '삼한'과 '대한제국'의 한과 연결
=> [말글->글]은 '글'이 문자와 함께 문자언어까지 포괄하기 때문4. 표준어의 기능
표준어 : 대한한국의 수도인 서울말
표준어의 기능 : 국가 내 언어를 통일하고 우월과 준거의 기능을 가짐5. 언어예절
1. 높임법- 주체 높임법
- 말하는 사람이 서술어가 나타내는 주어를 높이는 높임법
- 용언의 어간에 높임의 어미 '-(으)시-'를 붙여 표현
- [높임의 용어가 따로 있는 경우] '있다' -> '계시다', '먹다' -> '잡수시다', '자다' -> '주무시다'
- 상대 높임법
- 듣는 사람을 높이거나 낮추는 높임법
- 해라체, 해체, 하게체, 하오체, 해요체, 합쇼체로 구분
- 객체 높임법
- 동작이 미치는 대상을 높이는 높임법
- [특수한 어휘의 경우] 드리다, 여쭙다, 말씀드리다, 모시다
2. 인사말
- 만나고 헤어질 때 : 안녕하십니까? 뭐 잡수셨습니까?
(언어의 친교적 기능, 실제로 밥을 먹었는지 궁금한 것이 아니라 안부를 물음)- 소개할 때
- 가까운 사람을 덜 가까운 사람에게 먼저 소개한다.
- 손아랫사람을 손윗사람에게 먼저 소개한다.
- 압존법 : 말하는 이보다 윗사람이지만, 말을 듣는 이 보다 아랫사람인 주체에 대해 그 높임의 정도를 낮추는 높임법
=> 할아버지, 아버지께서 오셨습니다. =>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학습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필수 암기 - 고전문학 : 고려속요, 경기체가, 악장, 시조 (0) 2021.01.28 국어 필수 암기 - 고전문학 : 고전시가, 향가 (0) 2021.01.27 통사론 : 진도별 테스트 (오답풀이) (0) 2019.04.21 통사론 : 높임 표현 (1. 126~129) (0) 2019.04.20 통사론 : 사동 표현과 피동 표현 (1.122~124) (0) 2019.04.20